Corporate News
-
View More
이재준 큐렉소 대표 "인공관절 수술로봇, 이르면 올해 美 시장 진출"
- 하반기 중 美 FDA에 허가 신청- 한국MS와 AI 기반 수술로봇 개발이재준 큐렉소 대표가 서울 잠원동 본사에서 의료용 로봇 사업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이솔 기자인공관절 수술 로봇 기업 큐렉소가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다. 세계 1위 업체인 미국 스트라이커와 정면승부를 펼쳐 세계 최대 시장에서 입지를 마련하겠다는 전략에서다.이재준 큐렉소 대표는 최근 "올해 하반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인공관절 수술 로봇 '큐비스 조인트'의 시판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큐렉소는 hy(옛 한국야쿠르트)의 미국 계열사 씽크서지컬(TSI)과 함께 큐비스 조인트의 FDA 승인을 추진하고 있다. 큐렉소는 hy의 자회사다.큐렉소는 이르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 FDA의 허가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대표는 "TSI가 현지 판매를 맡을 예정"이라며 "허가 신청 후 6개월 정도면 승인이 날 것"이라고 했다.큐렉소는 큐비스 조인트의 미국 판매가 시작되면 매출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장조사회사인 마케츠앤드마케츠에 따르면 2020년 59억달러 규모였던 세계 의료용 로봇 시장은 2025년 127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큐렉소는 미국 시장을 뚫고 나면 동남아시아 시장을 겨냥할 계획이다. 2020년 6월 진출한 인도에서는 작년 하반기부터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내고 있다. 인도에서 판매가 급격히 늘면서 지난해 의료용 수술로봇 판매 대수는 62대였다. 2021년 30대에서 1년 만에 두 배로 늘어난 것이다. 올 들어서도 순항 중이다. 올해 1분기에도 23대를 판매하며 분기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 대표는 "의료용 수술로봇 주력 제품인 큐비스 조인트 가격은 글로벌 경쟁사 제품의 4분의 3 수준"이라며 "차별화된 가격경쟁력이 최대 강점"이라고 했다.지난해 큐렉소의 의료용 로봇 매출은 212억원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했다. 올 1분기에는 8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인공관절 보형물, 발효유 원재료 사업 등 다른 사업부문 매출을 처음으로 앞섰다. 큐렉소의 올해 의료용 로봇 매출 목표는 전년 대비 41% 많은 300억원이다.큐렉소는 인공지능(AI) 개발에도 도전하고 있다. 이 대표는 "한국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업해 수술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AI를 개발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AI를 통해 수술로봇을 활용할 수 있는 적응증을 무릎뿐만이 아니라 발목이나 어깨 등으로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진료부터 수술까지의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의료로봇 개발을 꿈꾸고 있다"고 했다.출처 :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50557601
Date : 2023-05-05
한경 BIO Insight
-
View More
의료로봇사업 궤도 오른 큐렉소…분기 사상 최대 실적
- 1분기 매출 195억 원·영업이익 11억 원…전년 比 859.7% 증가- 창립 후 처음으로 의료로봇사업이 무역사업 매출 앞질러 - 관절수술로봇 '큐비스-조인트' 인도 판매 증가…판매 대수 더 증가할 듯국내 의료로봇 제조전문 기업 큐렉소의 의료로봇사업이 괄목 성장하고 있다. 처음으로 의료로봇 매출이 기존 무역 매출을 뛰어 넘으면서다. 이에 힘입어 큐렉소는 올해 1분기에서 회사 창립 이래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인 195억 원을 기록했다. 28일 큐렉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회사 잠정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7% 증가한 195억 원, 영업이익은 859.7% 증가한 11억 원, 당기순이익 18억 원으로 흑자전환했다. 매출과 수익성이 동시에 수직상승한 이유로는 큐렉소의 의료로봇 판매가 급증하면서다. 그간 큐렉소는 지난 2011년 ㈜에치와이(구 한국야쿠르트)가 인수한 이래 지난해까지는 무역사업의 매출이 회사 매출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회사에 따르면 1분기 의료로봇사업 잠정 매출은 84억 4,000만 원으로 무역사업 잠정 매출(83억 7,000만 원)을 소폭 앞질렀다. 여기에 임플란트사업 잠정 매출이 27억 1,000만 원을 기록했다. 의료로봇 판매 급증의 주요 요인으로는 인공관절 수술로봇인 '큐비스-조인트'의 인도향 수출 덕분이다. 큐렉소는 이번 1분기에만 인도 메릴 라이프(구 메릴 헬스케어) 사에 큐비스-조인트를 추가로 16대 판매했다. 앞서 회사는 메릴 라이프에 2020년 큐비스-조인트 3대를 시작으로 2021년 5대, 2022년 29대를 꾸준히 판매해왔다. 큐비스-조인트는 CT영상을 기반으로 수술 전 수립한 수술 계획에 따라 정밀하게 뼈를 깎는 관절수술로봇이다. 이 관절수술로봇은 큐렉소가 전 세계에서 5번째로 상용화한 제품이다. 큐비스-조인트는 실시간 간격 측정(Gap-Check)을 통해 수술 중 계획 변경이 가능하며,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 방식으로 여러 임플란트를 선택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에 따라 로봇이 자동으로 뼈를 깎아준다. 이에 큐렉소는 큐비스-조인트의 해외 진출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라 봤다. 인도 외에도 일본 의료기기 회사 교세라와 일본 독점 판매 계약, 미국 FDA 인허가 등을 추진 중에 있기 때문이다. 사진설명 = 큐렉소 인공관절 수술로봇 큐비스-조인트.큐렉소 관계자는 "인공관절 완전 자동 수술로봇을 대표하는 큐비스-조인트의 임상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어 해외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 만큼 큐렉소는 연초 회사가 설정한 의료로봇매출 가이던스 보다 더욱 높은 실적을 올릴 것으로 기대했다. 당초 회사가 예상한 올해 연매출은 700억 원, 의료로봇사업에서는 연매출 300억 원 이상이 발생할 것으로 봤다.큐렉소 관계자는 "의료로봇사업은 연말로 가면 예상 매출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올해 의료로봇 예상 판매 대수를 80대로 설정했는데, 1분기 조인트에서만 20대가 판매됐다. 여기에 조인트에 대한 인도 내 추가적인 주문이 들어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이어 "아직은 이르지만 2분기 실적 발표가 나는 8월초가 되면 사업계획을 (우상향으로)다시 조정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큐렉소의 의료로봇 포트폴리오는 인공관절 수술로봇 큐비스-조인트를 비롯한 ▲척추수술로봇(CUVIS-spine) ▲보행재활로봇(Morning Walk S200) ▲상지재활로봇(InMotion Arm) 등으로 구성됐다.그 중 큐비스-스파인은 4대, 모닝 워크 S200은 20대 판매를 예상하고 있다. 출처 :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311282&sch_cate=F
Date : 2023-04-28
메디파나뉴스
-
View More
뉴로메카-큐렉소, 의료로봇 파트너십 체결
로봇 제조기업이자 코스닥 상장사인 뉴로메카(348340)와 큐렉소(060280)가 의료로봇 분야에 본격 진출한다.뉴로메카(348340)와 큐렉소는 의료로봇 분야 상호 발전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박종훈 뉴로메카 대표, 이재준 큐렉소 대표가 협약식에 참석했다.뉴로메카는 이번 파트너십 체결 이후 큐렉소의 수술로봇·의료로봇의 조인트 모듈, 메뉴플레이터, 제어기 개발·생산을 담당할 예정이다. 양사는 새로운 서비스 로봇 분야의 사업화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뉴로메카는 토털 로봇 제조기업으로 협동로봇, 자율이동로봇, 델타로봇을 만들어 왔다. 로봇의 핵심 구성 요소인 액추에이터, 제어기, 소프트웨어도 제조한다. 큐렉소는 인공관절 수술로봇, 척추 수술로봇, 보행 재활로봇, 상지 재활로봇을 제조하는 국내 수술용 의료로봇 시장 1위 기업이다.박종훈 뉴로메카 대표(왼쪽)와 이재준 큐렉소 대표 모습. (사진=뉴로메카, 큐렉소)시장조사기관 마켓샌드마켓에 따르면, 전 세계 의료용 로봇 시장은 2018년 64억6400만달러 규모였다. 이후 연평균 21.0%로 성장해 올해는 글로벌 시장이 167억4200만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의료로봇을 포함한 의료 자동화 시장은 세계적으로 연 9% 성장세다. 2025년에는 756억달러까지 시장 규모가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다.큐렉소는 지난해 62대의 의료로봇 판매, 65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올해는 의료로봇 80대 이상 및 전체 사업부 매출 700억 이상을 목표로 정했다. 지난 1분기에 23대의 의료로봇을 판매해 분기 단위 최대치를 기록했다.박종훈 대표는 "의료로봇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큐렉소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게 돼 기쁘다"며 "뉴로메카의 메뉴플레이터, 제어기, 액추에어터, 서비스 영역을 넘어 의료 영역에서도 경쟁력을 증명하겠다. 다양한 시장에서 효율적이고 빠른 성공을 만들겠다"고 말했다.이재준 대표는 "국내 대표 일괄 로봇 솔루션을 가진 뉴로메카와 전략적인 파트너십을 맺게 돼 매우 기쁘다"며 "제품의 안정적 공급 및 원가절감, 의료로봇 최적화, 새로운 로봇 서비스 발굴을 단기·중기의 핵심적인 사업 과제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이 대표는 "큐렉소는 큐렉소가 가진 전문서비스 로봇 분야와 뉴로메카가 가진 로봇 제조 플랫폼 사업 영역에 대해 가치를 공유할 것"이라며 "시너지를 통해 새로운 생태계와 표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출처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102486635577760&mediaCodeNo=257&OutLnkChk=Y
Date : 2023-04-19
이데일리
-
View More
큐렉소, 교세라와 日 인공관절 수술로봇 시장 진출
큐비스 조인트 독점 판매 계약 체결큐렉소가 일본 교세라와 일본 인공관절 수술로봇 시장에 진출한다.큐렉소는 교세라와 인공관절 수술로봇 '큐비스 조인트'에 대한 일본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큐렉소는 인공관절 수술로봇의 제조·공급 및 교육을, 교세라는 일본 판매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게 된다.큐비스 조인트는 수술 전 환자의 CT(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광학식 위치추적 카메라를 활용해 환자의 무릎뼈를 자동 절삭하는 수술로봇이다.큐렉소가 일본에 인공관절 수술로봇의 판로를 마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큐렉소 관계자는 "글로벌 기업인 교세라에 인공관절 수술로봇을 공급함으로써, 일본 환자들의 회복을 돕고 건강을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교세라 측은 "인공관절 수술로봇을 일본에 도입해 인공관절치환술 분야에서 사업을 더욱 확대하고, 국민의 건강 유지와 풍요로운 삶에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교세라는 산업 및 자동차 부품, 반도체 패키지, 전자제품, 의료기기(인공관절) 등을 생산하는 일본 소재의 글로벌 기업이다.출처 :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4185089i
Date : 2023-04-18
한경 BIO Insight
-
View More
제 1회 큐렉소㈜ 모닝워크 VR 게임 컨텐츠 기획 공모전 결과 발표
제 1회 큐렉소㈜ 모닝워크 VR 게임 컨텐츠 기획 공모전에 관심을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23년 3월 2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된 공모전에는 총 45건의 참신한 아이디어가 접수되었으며, 부합성, 완성도, 창의성, 대중성, 실현가능성의 5개 평가항목 기준의 심사를 통해 총 8건의 아이디어를 선정하였습니다. 심사 결과 시상 구분 수상자 연락처 뒷자리 시상금(원) 최우수상 개인 이승* 2378 1,000,000 우수상 팀 집**자 6902 700,000 장려상 팀 아자아* **대 36362*0000 300,000 특별상 개인 이상* 2889 200,000 개인 최용* 5196 200,000 팀 오션** 2612 200,000 팀 메타* 3460 200,000 팀 낚시는 ** *지 9911 200,000 ※ 팀의 연락처 뒷자리는 대표자 정보로 기재함. ※ 시상금 및 상장 전달은 추후 개별 연락을 통해 진행될 예정임. 수상자 여러분들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수상작들은 향후 보행재활로봇 모닝워크의 VR 개발에 활용할 것이며, 환자분들께 더 나은 삶을 돌려 드리는데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Date : 2023-04-18
-
View More
큐렉소, 비수기인 1분기 '의료로봇 최대 공급 갱신'...'국내 6대·해외 17대 공급'
▲큐렉소, 분기별 의료로봇 공급 추이큐렉소(대표 이재준)는 1분기 23대의 의료로봇을 공급하며 분기 기준 공급 대수를 연속적으로 경신하였다고 3일 밝혔습니다. 특히 회사에 따르면, 1분기 23대는 인공관절 수술로봇 '큐비스-조인트' 20대, 척추수술로봇 '큐비스-스파인' 1대 및 보행재활로봇 '모닝워크' 2대입니다. 회사는 지난 해부터 국내 보다 해외 공급 대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해외 공급은 2020년 5대를 시작으로 2021년 7대, 2022년 33대로 급증하였으며 올 1분기 역시 전체 공급 대수 중 74%인 17대를 해외 시장에 공급하게 되었는데 이는 메릴 헬스케어를 통한 인도 지역 수출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큐렉소 관계자는 "인도 向 큐비스-조인트 수출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에 설치된 큐비스-조인트를 활용한 로봇수술이 대중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도는 세계 최대 인구 국가로서 수술로봇의 공학적 성능에 대한 높은 관심과 임상 적용에 적극적인 국가로 평가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큐렉소는 지난 해 말 메릴 헬스케어와 인도 이외 30여 개국 공급에 관한 추가 계약으로 개별 국가의 인허가 완료 후 인도 이외 국가 向 추가 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출처 : http://www.paxetv.com/news/articleView.html?idxno=172292
Date : 2023-04-03
PAX경제TV
-
View More
큐렉소, 'KIMES 2023'에 인공관절 수술로봇 등 의료 로봇 5종 출품
▲ 큐렉소 이재준 대표(오른쪽)가 부스를 방문한 박민수 보건복지부 차관에게 모닝워크 시현을 통한 작동원리 등을 설명하고 있다.의료로봇 전문기업 큐렉소(대표 이재준)는 'ROBOTICS BEYOND CURE' 주제로 참가한 'KIMES 2023'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27일 밝혔다.큐렉소는 국제 의료기기 및 병원 설비 전시회인 'KIMES 2023'에 인공관절 수술로봇 '큐비스-조인트'를 비롯 보행재활로봇 '모닝 워크', '소프트 워크', 상지재활로봇 '인모션 암' 및 '하모니 SHR' 등 총 5가지의 의료 로봇을 전시하고 시현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선보였다.인공관절 수술로봇 '큐비스-조인트'와 보행재활로봇 '모닝 워크'는 해마다 국내외에서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 큐렉소의 대표 의료로봇이다.또한 보행재활 소프트 로봇 '소프트 워크'는 지난해 서울대와 특허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하고 상업화 개발, 인허가를 완료하여 큐렉소에서 상표 출원한 제품으로 '모닝 워크' 치료와 임상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향후 'B2C 재택 재활 기기'로의 제품화도 계획하고 있다.▲ 큐렉소 이재준 대표가 큐비스-조인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상지재활로봇 '인모션 암'은 바이오닉(BIONIK)사의 제품으로 큐렉소가 국내에 수입, 유통하고 있으며 해마다 4~5대 규모의 판매를 보이고 있다. 상지 외골격 재활로봇 '하모니 SHR'은 파트너사인 미국 하모닉 바이오닉스(HARMONIC BIONICS)사 제품으로 큐렉소와 하모닉 바이오닉스는 지난해 전략적 투자 계약을 맺고 '모닝 워크' 및 '큐비스-스파인'의 미국 내 사업화를 위해 협력 중이다.큐렉소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의료 로봇 기술 고도화를 통한 적응증 확대, AI, AR 등 기술의 접목, 미국 및 유럽 등 주요 의료로봇 시장에 대한 인허가 추가 완료 및 신규 시장 진출 등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로보틱스(Global Healthcare Robotics)' 기업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출처 :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163
Date : 2023-03-28
로봇신문
-
View More
큐렉소, 인공관절 수술로봇 'TMAX' 美정형외과학회 첫 공개
큐렉소의 인공관절 수술로봇 'CUVIS-Joint(큐비스-조인트)가 전 세계 정형외과 관계자들에게 첫 선을 보였다.▲ AAOS 2023」 TSI 부스에 설치된 'TMAX' = TSI 관계자가 부스에 방문한 정형외과학회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TMAX' 시스템에 대하여 주요 기능 등을 설명하고 있다.의료로봇 전문기업 큐렉소 주식회사(대표이사 이재준)는 인공관절 수술로봇 'CUVIS-Joint(큐비스-조인트)의 미국 제품명 'TMAX'를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The Venetian Convention & Expo Center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정형외과학회인 미국정형외과학회(AAOS 2023)에서 공개했다고 밝혔다.TMAX(티맥스)는 'CUVIS-joint(큐비스-조인트)'와 Think Surgical Inc.(이하 TSI 티에스아이)의 인공관절 수술 계획 소프트웨어인 'TPLAN(티플랜)'을 결합한 차세대 액티브 인공관절 수술로봇 시스템이며 미국 및 유럽시장에 적용될 제품명으로 양사는 지난 1년 동안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큐렉소는 시스템 개발 및 생산을 담당하고 TSI는 미국 FDA 인허가를 비롯해 마케팅 및 판매를 위한 양사간의 업무 영역을 차질없이 준비해 왔다.큐렉소 관계자에 따르면 3월 현재 TMAX의 FDA 인허가는 상반기 중으로 신청해 올해 연말까지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미국 정형외과학회(AAOS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는 미국을 비롯해 전세계 정형외과 의료진 뿐 만 아니라 관련 기업 및 종사자가 참여하는 세계 최대 정형외과 연례 학회이다.▲ AAOS 2023 TSI 부스 = TMAX 및 TMINI 시스템이 전시되어 있는 TSI 부스에 정형외과학회 관계자들이 방문하여 액티브 인공관절 수술로봇에 대해 높은 호응도를 보였다.올해에도 세계적인 정형외과 의료로봇 기업인 스트라이커(Stryker), 짐머바이오매트(Zimmer Biomet), 스미스엔네퓨(Smith & Nephew) 등을 비롯해 글로벌 정형외과 의료로봇 기업, 인공관절 기업 및 그 외 의료기기 기업 등이 참여했다.한편 큐렉소는 TMAX와 함께 TSI는 자체 개발한 로봇 기술을 활용한 휴대용 정형외과 수술 장치인 TMINI(티미니)를 전시했으며 현재 인허가 심사 중으로 올해 상반기 중으로 미국 정형외과 시장에 본격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TMINI는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한 소형 드릴 장치로 미국의 외래외과센터(ASC) 등을 목표시장으로 해 기존 수술로봇과는 차별화되고 보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의료진 뿐 만 아니라 기존의 주요 정형외과 기업들도 주목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출처 : http://www.whosaeng.com/142704
Date : 2023-03-15
후생신보
-
View More
제3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통지(공고)
제3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통지(공고)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우리 회사는 정관 제19조에 의하여 제31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 래 -1.일시 : 2023년 3월 23일 (목) 오전 9시2.장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142(교총회관) 2층 단재홀
Date : 2023-03-08